개발메모

# windows WSL2에 리소스 할당하기.

theno0s 2024. 12. 13. 13:47

windows에서 도커를 쓰려고 ubuntu linux를 설치 하고 나니,

 

이럴 바엔 개발을 linux로 하는게 좋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.

 

그러고 나서 sdkman 등 기본 개발에 필요한 도구들 설치하고

git repository에서 프로젝트를 당겨 받았는데,

초기 gradle build 속도가 썩 좋지 않다고 느꼈다.

 

그래서 WSL2 가상머신에 PC가 가지고 있는 리소스를 더 할당해서

좀 더 나은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자 했다.

 

서론이 길었고, 내용은 간단하다.

 

windows 의 사용자 폴더 (일반적으로는 C:\Users\<computer-profile-name> 경로)

에 WSL2의 설정을 세팅하는 파일을 생성해주면 되는 것. (있으면 수정)

 

.wslconfig 라는 이름으로 파일을 생성해준다.

파일 내부에는 할당할 리소스를 정의.

[wsl2]
memory=8GB		# wsl에 할당할 메모리 크기
processors=4	# wsl에 할당할 프로세서 갯수

 

위 파일 생성(또는 수정) 완료 후 wsl을 재부팅 해준다.

 

windows powerShell을 실행 후

$ wsl --shutdown

위 명령어를 실행하여 wsl를 종료 한 뒤,

ubuntu를 다시 실행해 주면 된다.

 

실행 후 linux terminal에서 리소스 현황 확인

$ cat /proc/cpuinfo  # CPU 코어 수 확인
$ free -h            # 메모리 사용량 확인

 

...맥북이 빨리 왔으면 조케따